두 번째 키워드입니다. <br /> <br />'배짱' 테슬라 백기 들었다…배터리 정보 공개. <br /> <br />테슬라도 결국 배터리 정보를 공개했나 보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수입차 회사 가운데 국내에서 가장 많은 전기차를 판매하는 회사죠, <br /> <br />테슬라가 배터리 제조사 공개에 동참했습니다. <br /> <br />인천 지하주차장 화재로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업체들이 앞다퉈 배터리 제조사를 공개해왔죠. <br /> <br />그런데 테슬라는 정보 공개 대신 이상증세에 신속 대응하겠다는 방침만 밝혀 논란이었는데요, <br /> <br />뒤늦게 제조사를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테슬라 모델3와 모델Y에는 LG에너지솔루션과 일본 파나소닉, 중국 CATL 배터리가 탑재됐고요, <br /> <br />모델X와 모델S에는 일본 파나소닉 배터리만 사용됐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정부는 국내에서 전기차를 파는 모든 제조사에 배터리 정보를 공개하도록 권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 누리집을 보면 오늘 기준 국내외 완성차 브랜드 20곳의 전기차 배터리 정보가 올라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오늘 또 어떤 업체들의 배터리 정보가 추가됐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롤스로이스와 미니입니다. <br /> <br />미니의 전기차 1종에는 중국 CATL 제품이, 롤스로이스 1종에는 삼성 SDI 제품이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또 다른 제작사를 살펴보면, 한국GM 쉐보레 브랜드의 2종에 르노코리아는 3종에 모두 국내산 배터리가 탑재됐습니다. <br /> <br />KG모빌리티에는 2종 모두 중국 BYD(비야디)의 배터리가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국토부는 아직 공개하지 않은 업체들도 배터리 정보 공개를 권고할 방침인데요, <br /> <br />현재 캐딜락은 전기 SUV인 '리릭'의 배터리 정보 공개를 놓고 내부적으로 고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소비자 알 권리 차원에서 배터리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고 있지만, <br /> <br />그렇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건 아니잖아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배터리 업계에서는 인천 전기차 화재의 원인이 배터리로 지목되는 것을 경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배터리는 제조사가 만들지만, 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는 자동차 회사가 만듭니다. <br /> <br />화재 원인이 배터리 때문인지 차체 결함인지 불분명하기 때문에 일단 조사 결과를 기다려봐야 합니다. <br /> <br />전기차 화재를 막을 정부 대책은 다음 달이 되어야 나올 예정인데요,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화재 예방을 위해 충전한 배터리를 계속 충전하는 '과충전'을 하지 말고, 배터리가 5% 미만으로 떨어지는 방전도 방지하라고 당부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황보혜경 (bohk101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81617145023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